맨위로가기

메트로 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트로 세부는 필리핀 세부 주에 위치한 도시권으로, 세부 시티, 라푸라푸 시, 만다우에 시 등 7개의 도시와 6개의 자치구로 구성된다. 세부 시티는 메트로 세부의 중심지이며, 주요 산업 시설은 만다우에 시에, 막탄-세부 국제공항은 라푸라푸 시에 위치해 있다. 2005년과 2007년에는 인근 도시 및 자치구가 추가로 편입되었으며, 2020년 기준 316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다. 메트로 세부는 경제, 교통,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필리핀 내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대도시 지역으로 꼽힌다. 메트로 세부 개발 조정 위원회(MCDCB)는 지역 개발 계획 수립 및 조정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사야스 제도 - 네그로스섬
    네그로스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있는 섬으로,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크며, 서쪽에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가, 동쪽에는 네그로스오리엔탈주가 위치하고, 설탕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비사야스 제도 - 비사야 제도
    비사야 제도는 필리핀 중부에 위치한 섬들의 집합으로, 12세기 중국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7개의 큰 섬과 수백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약 2천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지역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메트로 세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메트로폴리탄 세부
현지 이름카울로항 수그보
다른 이름칼라캉 세부
유형도시권
별칭메트로 세부
소속 국가필리핀
관할 지역중부 비사야 지방 (Region VII)
지리적 소속세부 주
관리 기관메트로 세부 개발 및 조정 위원회
면적1163.36 km²
해발고도17m
인구 (2020년)3,165,799 명
언어세부아노
시간대PST
UTC 오프셋+8
행정 구역
고도 시세부 시
라푸라푸
만다우에
구성 시카르카르
다나오
나가
탈리사이
자치체콤포스텔라
콘솔라시온
코르도바
릴로안
밍글라닐라
산페르난도
바랑가이349
이미지
2023년 메트로 세부의 항공 사진. 왼쪽은 [[세부 시]], [[만다우에]], [[탈리사이 (세부 주)|탈리사이]]. 오른쪽은 [[막탄]].
2023년 메트로 세부 항공 사진
메트로 세부의 위성 사진
메트로 세부의 위성 사진
메트로 세부의 위치
메트로 세부의 위치

2. 구성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

메트로 세부는 세부 시, 막탄 시, 망다우에 시, 탈리사이 시, 다나오 시, 카르카르 시, 나가 시 등 7개 도시와 콤포스텔라, 콘솔라시온, 코르도바, 릴로안, 밍글라닐라, 산 페르난도 등 6개 자치구로 구성된다.[1]

1970년대 마르코스 정권 시절, 메트로 마닐라와 같이 정부의 도시계획 전문가들이 메트로 세부를 구상하였다.

메트로 세부의 중심지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식민 도시이자 세부주 주도이며, 필리핀 중부(비사야 제도)의 중심 도시인 세부 시이다. 주청사, 중심업무지구, 주요 교육기관, 국제항구는 모두 세부 시티에 있으며, 주요 산업 기업과 공장은 망다우에 시에 있다. 막탄-세부 국제공항과 수출가공구역은 막탄섬 라푸라푸 시에 있고, 다나오 시는 광산 도시이며, 탈리사이 시는 주거 도시이다.[1]

2. 1. 도시

메트로 세부는 세부 시, 막탄 시, 망다우에 시, 탈리사이 시, 다나오 시, 카르카르 시, 나가 시 등 7개 도시와 콤포스텔라, 콘솔라시온, 코르도바, 릴로안, 밍글라닐라, 산 페르난도 등 6개 자치구로 구성된다.[1] 중심지인 세부 시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식민 도시이자 세부주 주도이며, 필리핀 중부(비사야 제도)의 중심 도시이다.

메트로 세부는 세부섬 중앙부 동해안과 인접한 작은 섬 막탄섬에 걸쳐 있으며, 세부주의 면적의 20%, 인구의 57.5%를 차지한다(2000년 조사).[1] 필리핀에서는 메트로 마닐라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제2의 대도시권이며, 루손섬 이외 지역에서는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이다.[1]

메트로 세부에는 세부 주지사와 메트로 세부를 구성하는 시장 및 마을의 장을 회원으로 하는 도시계획 등을 논의하는 메트로폴리탄 세부 개발 평의회 (Metropolitan Cebu Development Council)가 있지만, 메트로 마닐라의 메트로폴리탄 마닐라 개발청 (Metropolitan Manila Development Authority)과 같은 법적 권한은 없다.[1] 개발 평의회를 공식적인 개발청으로 하는 안이 있지만, 제안 단계에 머물러 있다.[1]

메트로 세부의 구성 도시 및 자치구[1]
도시/마을인구면적인구 밀도분류
km²mi²명/km²명/mi²
세부 시티964,169315km2약 314.99km23,060.857,927.58고도로
라푸라푸 시(Lapu-Lapu City)497,60458.1km2약 58.09km28,564.6122,182.25고도로
망다우에 시(Mandaue City)364,11634.87km2약 34.86km210,442.1027,044.91고도로
탈리사이 시(Talisay City)263,04839.87km2약 39.86km26,597.6417,087.82구성
다나오 시(Danao City)156,321107.3km2약 107.30km21,456.863,773.25구성
릴로안(Liloan)153,19745.92km2약 45.92km23,336.178,640.64자치구
밍글라닐라(Minglanilla)151,00265.6km2약 65.60km22,301.865,961.79자치구
콘솔라시온(Consolacion)148,01237.03km2약 37.04km23,997.0810,352.40자치구
카르카르 시(Carcar City)136,453116.78km2약 116.78km21,168.463,026.30구성
나가 시(Naga City)133,184101.97km2약 101.97km21,306.113,382.81구성
산 페르난도(San Fernando)72,22469.39km2약 69.39km21,040.842,695.77자치구
코르도바(Cordova)70,59517.15km2약 17.15km24,116.3310,661.24자치구
콤포스텔라(Compostela)55,87453.9km2약 53.90km21,036.622,684.84자치구
합계 /3,165,7991062.88km2약 1062.87km22,978.517,714.31


2. 2. 지방 자치 단체

메트로 세부는 세부 시티, 라푸라푸 시, 망다우에 시, 탈리사이 시, 다나오 시, 카르카르 시, 나가 시 등 7개 도시와 콤포스텔라, 콘솔라시온, 코르도바, 릴로안, 밍글라닐라, 산 페르난도 등 6개 자치구로 구성된다. 세부 시티는 메트로 세부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주청사, 중심업무지구, 주요 교육기관, 국제항구가 모두 위치해 있다. 망다우에 시에는 주요 산업 기업과 공장이 위치해 있다. 막탄-세부 국제공항과 수출가공구역은 막탄섬에 있는 라푸라푸 시에 있다. 다나오 시는 주로 광산 도시이며, 탈리사이 시는 중소기업에서 발생하는 수입으로 운영되는 주거 도시이다.[1]

메트로 세부의 지방 자치 단체
도시/마을인구면적인구 밀도분류
km²mi²명/km²명/mi²
세부 시티964,169315.00121.623,060.857,927.58고도로 도시화된 시
라푸라푸 시497,60458.1022.438,564.6122,182.25고도로 도시화된 시
망다우에 시364,11634.8713.4610,442.1027,044.91고도로 도시화된 시
탈리사이 시263,04839.8715.396,597.6417,087.82구성 시
다나오 시156,321107.3041.431,456.863,773.25구성 시
릴로안153,19745.9217.733,336.178,640.64자치구
밍글라닐라151,00265.6025.332,301.865,961.79자치구
콘솔라시온148,01237.0314.303,997.0810,352.40자치구
카르카르 시136,453116.7845.091,168.463,026.30구성 시
나가 시133,184101.9739.371,306.113,382.81구성 시
산 페르난도72,22469.3926.791,040.842,695.77자치구
코르도바70,59517.156.624,116.3310,661.24자치구
콤포스텔라55,87453.9020.811,036.622,684.84자치구
합계 / 평균3,165,7991,062.88410.382,978.517,714.31



3. 역사

메트로 세부는 1970년대에 정부 계획자들에 의해 구상되었으며, 메트로 마닐라의 도시 계획 경험을 바탕으로 했다. 메트로 세부는 비사야와 북부 민다나오 지역의 주요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인 세부 시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이 지역의 번성하는 도시 중심지를 나타내며, 이 지역의 경제적 기회에 크게 의존하는 인구를 가지고 있다.[1]

만다우에는 1580년에서 1700년 사이에 공식적으로 "푸에블로"(주민)로 구성되었고, 1899년에는 공식적으로 포블라시온 데 만다우에(만다우에 마을)로 알려졌으며, 이후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1969년 6월 21일 공화국 법률 제5519호에 따라 시로 승격되었고, 1991년에는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간주되었다.[1]

탈리사이는 1648년에 전 아우구스티누스회 아시엔다(대농장)였으며 1849년에 시로 승격되었다. 2000년 12월 30일, 공화국 법률 제8979호에 따라 시로 승격되었다.[1]

라푸라푸 시는 원래 "막탄"으로 불렸으나, 1730년에 오폰 마을이 되었는데, 이는 세부에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들이 세운 7번째 마을이었다. 오폰 마을은 1961년 6월 17일에 시가 되었으며, 가장 큰 지역인 라푸라푸는 다투 라푸라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3. 1. 세부 라자국

세부 시는 비사야 원주민 왕들이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이웃 섬들과 무역을 했던 어촌이자 농업 정착지였다. 세부는 수마트라 출신의 반 인도 반 말레이 혈통인 스리 루마이(Sri Lumay)가 세운 인도화된 왕국인 세부 라자국의 위치였다.[1]

3. 2. 스페인 식민 시대

1521년 4월 7일, 포르투갈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세부에 도착했다. 그러나 마젤란은 1521년 4월 27일 막탄 섬의 지도자 다투 라푸라푸에게 살해당하면서 스페인 왕관을 위해 필리핀을 차지하는 데 실패했다.[1]

1565년 4월 27일,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이끄는 스페인 탐험가들이 멕시코에서 세부에 도착했다. 1571년 1월 1일, 스페인인들은 도시 이름을 산 미구엘(성 미카엘)에서 빌라 델 산티시모 놈브레 데 헤수스(예수의 지극히 거룩한 이름의 도시)로 변경했다. 이 섬은 1571년 수도가 마닐라로 옮겨지기 전까지 스페인령 동인도 제도의 수도였다.[1]

3. 3. 현대

2004년 6월 30일, 아로요 대통령이 필리핀 역사상 처음으로 세부에서 대통령에 취임했다. 취임식은 세부 지방 정부 청사 앞에서 치러졌으며, 대통령 선거에서 자신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은 세부 시민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특별히 이루어졌다.[1]

2005년에는 메트로 세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경기 대회가 열렸다. 이 대회는 2005년 11월 27일부터 12월 5일까지 세부 종합 운동장(Cebu City Sports Complex), 만다우 체육관(Mandaue Coliseum), 산카를로스 대학교, 다나오 시 등에서 치러졌다.[2]

제12회 아세안 정상회의가 세부에서 열렸다. 당초 12월 10~14일로 예정되었던 회의는 태풍 우토르(Typhoon Utor)로 인해 참가자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이듬해 1월로 연기되었다.[3]

4. 인구

세부 사람들은 세부아노라고 불리며, 비사야인에 속한다. 일부는 중국계 필리핀인, 일본계, 인도계 등 외국계 혈통 및 다른 필리핀 민족 집단의 혈통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메트로 세부에서는 세부아노어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구어체 언어이며, 영어는 교육 기관과 비즈니스 거래에서 공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4. 1. 인종

세부 사람들은 세부아노(Cebuano people)라고 불리며, 비사야인(Bisaya)에 속한다. 일부는 중국계, 일본계, 인도계 등 외국계 혈통 및 다른 필리핀 민족 집단의 혈통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4. 2. 언어

세부아노 비사야어는 메트로 세부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구어체 언어이다. 영어는 교육 기관과 비즈니스 거래에서 공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그 외에도 중국어(예: 필리핀어 호키엔어, 주로 중국계 필리핀인들이 사용), 타갈로그어(필리핀어)가 필리핀 대중매체와 학교 수업을 통해 사용되지만, 세부 주 전역에서 사용되고 세부 학교에서 가르치며 인근 지역과 섬의 다양한 비사야어에도 영향을 미치는 타갈로그어는 세부아노어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만다린어는 세부의 중국계 필리핀인 중국 학교와 일부 다른 학교의 중국어 수업에서도 가르친다.

5. 교육

메트로 세부에는 12개 이상의 교육 기관이 있으며, 가장 오래된 기관은 산 카를로스 대학교(University of San Carlos)이다. 이 기관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설립 연도
아시안 기술 대학(Asian College of Technology)1988년
세부 닥터스 대학교(Cebu Doctors' University)1975년
세부 이스턴 대학(Cebu Eastern College)1915년
세부 의학 연구소(Cebu Institute of Medicine)1957년
세부 기술 대학교(Cebu Institute of Technology – University)1946년
세부 사범 대학교(Cebu Normal University)1902년
세부 기술 대학교(Cebu Technological University)1911년
라 인마쿨라다 콘셉시온 대학(Colegio de la Inmaculada Concepcion)1880년
돈 보스코 기술 대학 세부(Don Bosco Technical College–Cebu)1954년
세부 세인트 테레사 대학(Saint Theresa's College of Cebu)1933년
사우스웨스턴 대학교1946년
세부 대학교(University of Cebu)1964년
산 카를로스 대학교(University of San Carlos)1595년
산 호세 레콜레토스 대학교(University of San Jose–Recoletos)1947년
사우스 필리핀 재단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Philippines Foundation)1927년
필리핀 대학교 세부(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Cebu)1918년
비사야스 대학교(University of the Visayas)1919년
벨레스 대학(Velez College)1957년



만다우에(Mandaue) 시에 위치한 세부 닥터스 대학교(Cebu Doctors' University)


비사야스(Visayas) 인근 주와 북부 민다나오(Mindanao)에서 온 많은 학생들이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 메트로 세부로 가는 것을 선호한다.

자국보다 메트로 세부와 필리핀의 교육비가 저렴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메트로 세부에서 고등 교육 과정을 이수하는 한국, 이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남인도 학생들도 상당수 있다.

세부에는 국제적으로 연결된 네 개의 교육 기관이 있다. 세부 국제학교(Cebu International School)과 CIE 영국 학교는 세부 시(Cebu City)에 위치하고, 싱가포르 학교 세부와 우드리지 국제 학교는 만다우에(Mandaue)에 있다.

6. 의료

메트로 세부에는 여러 병원과 진료소가 있다. 메트로 세부의 병원은 크게 정부 소유의 공립 병원과 사립 병원,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메트로 세부의 공립 병원으로는 빈센트 소토 기념 의료 센터, 세부 시티 의료 센터 등이 있으며, 세부 주 정부가 운영하는 소규모 공립 지역 병원들도 있다.

메트로 세부의 사립 병원으로는 총화 병원, 세부 의과대학 병원, 세부 대학교 의료 센터, 영원한 구원 병원, 세부 의학 연구소 병원 등이 있다.

7. 경제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대도시 지역인 메트로 세부는 주요 경제 중심지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전자, 제약, 관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여러 다국적 기업들을 유치하고 있다. 메트로 세부와 세부 주 전체는 1990년대 초부터 "세부"와 "붐"을 합성한 신조어인 세붐(Ceboom)으로 알려진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2] 2020년 기준으로 메트로 세부의 세 개의 가장 크고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인 세부 시티(Cebu City), 라푸라푸 시티(Lapu-Lapu City), 만다우에(Mandaue)는 중부 비사야스(Central Visayas)의 지역 총생산(GRDP)의 각각 22.2%, 11.3%, 8.3%를 차지한다.[3]

세부 시티는 메트로 세부의 주요 경제 중심지이다. 역사적으로 "다운타운 세부(Downtown Cebu)"로 알려진 콜론 거리(Colon Street)와 그 주변 지역이 세부의 주요 경제 중심지였지만, 세부 비즈니스 파크(Cebu Business Park)와 세부 IT 파크(Cebu IT Park)(총칭하여 "세부 파크 지구(Cebu Park District)")와 같은 새롭고 현대적인 개발이 진행되면서 메트로 세부의 다른 지역으로 개발이 확산되었다. 세부 IT 파크는 많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기업들을 포함한 여러 산업의 중심지이다. 세부 시티 남부 지역에 있는 300헥타르 규모의 매립 사업인 남부 도로 지역(South Road Properties)은 메트로 세부의 주요 경제 중심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4]

만다우에에는 주요 산업 공장들이 위치해 있지만, "뉴 만다우 시티(New Mandaue City)"로도 알려진 만다우에의 북부 매립 지역에서는 2010년대 이후 만다니 베이(Mandani Bay) 프로젝트를 포함한 다양한 복합개발이 이루어졌다.[5]

막탄 공항(Mactan Airport)이 위치한 라푸라푸 시티는 여러 리조트와 호텔이 위치한 주요 관광 중심지이다. 라푸라푸 시티에는 여러 다국적 기업의 공장이 위치한 막탄 수출 가공 지역(Mactan Export Processing Zone)과 세부 경공업 단지(Cebu Light Industrial Park)도 있다.[6]

메트로 세부의 다른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들은 주로 여러 개의 주택 단지(또는 교외)가 있는 주거 지역으로 남아 있으며, 주민들은 일을 위해 "3개 도시"로 통근하지만, 밍글라닐라(Minglanilla)의 밍글라닐라 테크노-비즈니스 파크(Minglanilla Techno-Business Park)와 콘솔라시온(Consolacion)의 새로운 세부 국제 컨테이너 항(New Cebu International Container Port)과 같은 개발 사업으로 더 많은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개발은 세부 시티, 라푸라푸 시티, 만다우에라는 메트로 세부의 기존 중심지 밖에서 사업체들이 사업을 설립할 수 있도록 산업을 수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시는 세부주뿐만 아니라 비사야 제도민다나오섬 북부 일대의 비즈니스, 교육, 항만의 중심지이다. 한편, 큰 공장들은 만다우에시에 있다.

8. 교통

메트로 세부는 필리핀에서 메트로 마닐라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대도시권으로, 도로, 항공, 해상 교통이 발달했다.


  • '''도로:''' 메트로 세부의 도로는 필리핀에서 가장 번화하고 혼잡한 곳 중 하나이다. 주요 도로로는 오스메냐 대로, 콜론 거리, V. 라마 등이 있다. 2010년에는 세부 남부 해안 도로가 완공되어 교통 개선에 기여했다. 막탄은 마르셀로 페르난 다리와 막탄-만다우에 다리를 통해 세부 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2022년에는 세부-코르도바 다리가 개통되었다. 세부섬 내에서는 택시, 버스, 지프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항공:''' 라푸라푸시에 위치한 마크탄-세부 국제공항(MCIA)은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다. 국내선과 국제선 터미널이 있으며, 서울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 도시로 가는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 '''해상:''' 세부 항구는 필리핀에서 가장 번화한 국내 해상 항구 중 하나이며, 중부 비사야 지방의 주요 관문이다. 세부 시티와 막탄 사이의 해협에 위치하여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하는 막탄 덕분에 안전한 항구 운영이 가능하다.
  • '''철도:''' 과거 세부섬 동쪽 해안을 따라 운행되던 철도는 폐지되었으나, 도로 교통 혼잡으로 인해 폐선 부지를 활용한 급행철도 건설 계획이 있다.

8. 1. 도로

콜론 거리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도로 중 하나이다.


메트로 세부의 도로는 필리핀에서 가장 번화하고 혼잡한 곳 중 하나이다. 오스메냐 대로, 콜론 거리, V. 라마는 메트로 세부의 주요 도로이다. 2010년에는 남부 해안 도로(세부 해안 도로)라고 불리는 12km 길이의 4차선 고속도로가 완공되어 메트로 세부의 교통 개선에 기여했다. 이 도로는 세부 시티, 탈리사이 및 기타 남부 지방 자치 단체를 연결한다. 현재 남부 해안 도로를 북부 매립지의 세르히오 오스메냐 애비뉴와 연결하는 약 1km 길이의 도로 지하차도가 건설 중이다. 이 외에도 북부 지역의 일련의 고가도로, 세부 북부 해안 도로, 클로버리프 연결 도로 프로젝트가 계획되어 있다.

막탄은 마르셀로 페르난 다리와 막탄-만다우에 다리 두 개의 다리를 통해 세부 섬과 연결되어 있다. 2022년에는 세 번째 세부-막탄 연결 도로인 세부-코르도바 다리가 개통되었다.

세부섬 내 교통은 도시 간을 잇는 선불식 쿠폰 택시나 세부시의 노스 버스터미널과 사우스 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장거리 버스를 이용하며, 메트로 세부 내부에서는 정해진 구간을 운행하는 지프니가 많이 운행된다.

8. 2. 항공

라푸라푸 시티의 마크탄-세부 국제공항 제1터미널 항공 사진


마크탄-세부 국제공항(MCIA)은 공식적으로 메트로 세부의 유일한 공항이다. 라푸라푸시에 있으며, 필리핀에서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다음으로 두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다.[1]

이 공항에는 두 개의 터미널이 있다. 제1터미널은 국내선 전용이고, 2018년 7월 1일에 개장한 제2터미널은 국제선을 취급한다. 두 터미널의 총 수용 인원은 1,250만 명이다.[1]

MCIA를 오가는 국제선 주간 운항편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창이 공항, 홍콩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 간사이 국제공항, 나고야 공항, 인천 국제공항, 부산 김해 국제공항, 타오위안 국제공항,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시아먼 가오치 국제공항, 두바이 공항, 도하,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난닝 우수 국제공항 등으로 가는 국제선 정기편 및 전세편이 운항되고 있다.[1]

메트로 세부의 MCIA는 중부 및 남부 필리핀 경제 중심지의 국제 관문이다. 세부와 필리핀 대부분의 도시 사이에는 매일 수많은 항공편이 운항된다. 세부를 오가는 항공 화물 운송은 FedEx, Fastpak Global Express, 2GO와 같은 주요 국제 특송 업체가 운영하고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다.[1]

세부 막탄 국제공항은 세부퍼시픽항공과 PAL 익스프레스의 허브 공항이며, 필리핀 전역뿐만 아니라 서울, 도쿄, 오사카, 타이베이, 홍콩, 싱가포르, 방콕 등 아시아 주요 도시로 정기편과 전세편을 운항하고 있다.[1]

8. 3. 해상

세부 항구는 필리핀에서 가장 번화한 국내 해상 항구이다. 맘다우에와 라푸라푸의 항구 지역과 함께 "세부 해상 항구 단지"는 연간 승객 수를 기준으로 필리핀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이며, 중부 비사야 지방의 주요 입항 항구이기도 하다. 필리핀 해운회사의 약 80%가 이곳에 기반을 두고 있을 정도로 필리핀 해운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항구는 세부 주 동쪽 해안 중앙에 위치해 있는데, 세부 시티와 막탄 사이의 좁은 해협에 위치한 천연 항구에 자리 잡고 있으며, 막탄이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하여 연중 안전하고 운영이 가능한 항구 중 하나이다.

세부 국제 항구와 세부 국내 항구는 전국 및 전 세계를 오가는 컨테이너 선박과 여객선을 처리한다. 세부 국제 항구는 10헥타르의 면적에 690미터의 정박 공간과 MLLW(평균 저조면) 기준 -8.5미터의 제어 수심을 갖춘 다목적 터미널이다. 세부 기저항 - 국내 지역은 군도의 다른 섬에서 오고 가는 다양한 사업의 국내 거래를 위한 지역으로, 3.5km의 정박 공간, 3개의 지주식 부두, 3개의 여객 터미널을 갖춘 연안 해운에 전념하고 있다.[1]

세부 항은 막탄섬과 세부섬 사이의 해협에 접해 있으며, 옛날부터 막탄섬을 천연 방파제로 삼은 안전한 항구였다. 현재도 비사야 제도를 중심으로 루손섬에서 민다나오섬까지 각지로 향하는 페리의 중심지이며, 필리핀의 많은 선박 회사가 본사를 두고 있다. 컨테이너선을 위한 대규모 부두도 정비되어 있다.[3]

8. 4. 철도

세부섬 동쪽 해안의 다나오와 알가오 사이를 운행했던 철도는 폐지되었지만, 도로 교통 혼잡으로 인해 폐선 부지를 활용하여 다나오에서 칼칼까지 메트로 세부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급행철도 건설 계획이 있다.[1] 1단계 사업에서는 콘솔라시온 - 만다우에 - 세부 - 탈리사이 20km 구간을 연결한다.[1] 또한 2단계 사업에서는 탈리사이에서 남쪽 칼칼까지 35km, 3단계 사업에서는 콘솔라시온에서 북쪽 다나오까지 15km를 연장하는 구상도 있다.[1]

9. 공공 시설

=== 통신 ===

필리핀 장거리 전화 회사(PLDT)는 메트로폴리탄 지역과 전국에서 주요 통신 사업자이다. 1995년 전기통신법 통과 후 글로브텔레콤의 자회사인 글로벨라인즈 이노브와 이슬라콤이 진출했다.

세부 메트로 지역과 필리핀 전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회사는 다음 표와 같다.

회사브랜드
스마트 커뮤니케이션/필리피노 텔레커뮤니케이션즈(Pilipino Telecommunications Corp., PLDT 자회사)Smart, Talk n Text, Sun Cellular, Addict Mobile
글로브텔레콤Globe, TM
디토 텔레커뮤니티Dito



=== 전력 ===

메트로 세부 지역의 전력 대부분은 PNOC-EDC가 운영하는 레이테 지열 발전소에서 공급되며, 국가송전공사(TransCo)가 운영하는 해저 전력 케이블을 통해 세부 전역에 연결된다.[1] 국가송전공사는 여러 고압 전선을 통해 전력을 송전한다.[1] 막탄 섬(라푸라푸 시코르도바)을 제외한 지역은 비사얀 전력 회사(VECO)가 저장 및 배전을 담당한다.[1] 막탄 섬은 막탄 전력 회사가, 카르카르 시는 세부 I 전력 협동조합(CEBECO I)이, 다나오 시와 콤포스텔라 시는 세부 II 전력 협동조합(CEBECO II)이 담당한다.[1] 이들은 220VAC 50Hz의 전력을 공급한다.[1]

=== 수도 ===

1974년 오스메냐 상수도 시스템(Osmena Waterworks System)이 재정적 손실을 입은 후, 메트로 세부 상수도청(Metropolitan Cebu Water District, MCWD)이 세부 대도시 전체의 식수 공급을 인수했다. MCWD는 플룸베로 호(Lake Plumbero), 밍글라닐라(Minglanilla), 세부 시티의 부히산 저수지(Buhisan Reservoir), 콘솔라시온(Consolacion)의 카실리(Casili), 탈리사이의 마낭가(Mananga)에 있는 저수지에서 세부, 만다우에, 라푸라푸, 탈리사이 시와 콘솔라시온, 릴로안, 콤포스텔라, 코르도바 시의 식수를 공급한다.

산림 벌채와 지하수 공급원의 해수 침입으로 인해 메트로 세부에서는 물 부족이 항상 문제였다.[1] 대도시의 물 부족 사태로 인해 인근 보홀 섬에서 물을 확보하자는 제안이 있었다.[2]

1998년 탈리사이 마구웨이(Maghuway)에 위치한 마낭가 1단계 프로젝트(Mananga Phase I Project)가 완료되어 하루에 추가로 33000m3의 식수를 생산했다. 플룸베로 호 근처 밍글라닐라(Minglanilla)에서는 일련의 5HP 잠수식 펌프를 태양광 에너지로 가동하는 다른 지역(참고: 주간에만 작동)이 있다.

9. 1. 통신

필리핀 장거리 전화 회사(PLDT)는 메트로폴리탄 지역과 전국에서 주요 통신 사업자이다. 1995년 전기통신법 통과 후 글로브텔레콤의 자회사인 글로벨라인즈 이노브와 이슬라콤이 진출했다.

세부 메트로 지역과 필리핀 전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회사는 다음 세 곳이다.

회사브랜드
스마트 커뮤니케이션/필리피노 텔레커뮤니케이션즈(Pilipino Telecommunications Corp., PLDT 자회사)Smart, Talk n Text, Sun Cellular, Addict Mobile
글로브텔레콤Globe, TM
디토 텔레커뮤니티Dito


9. 2. 전력

PNOC-EDC가 운영하는 레이테 지열 발전소에서 메트로 세부 지역의 전력 대부분이 공급되며, 국가송전공사(TransCo)가 운영하는 해저 전력 케이블을 통해 세부 전역에 연결되어 있다.[1] 국가송전공사는 여러 고압 전선을 통해 전력을 송전한다.[1] 막탄 섬(라푸라푸 시코르도바)을 제외한 지역은 비사얀 전력 회사(VECO)가 저장 및 배전을 담당한다.[1] 막탄 섬은 막탄 전력 회사가, 카르카르 시는 세부 I 전력 협동조합(CEBECO I)이, 다나오 시와 콤포스텔라 시는 세부 II 전력 협동조합(CEBECO II)이 담당한다.[1] 이들은 220VAC 50Hz의 전력을 공급한다.[1]

9. 3. 수도

1974년 오스메냐 상수도 시스템(Osmena Waterworks System)이 재정적 손실을 입은 후, 메트로 세부 상수도청(Metropolitan Cebu Water District, MCWD)이 세부 대도시 전체의 식수 공급을 인수했다. MCWD는 플룸베로 호(Lake Plumbero), 밍글라닐라(Minglanilla), 세부 시티의 부히산 저수지(Buhisan Reservoir), 콘솔라시온(Consolacion)의 카실리(Casili), 탈리사이의 마낭가(Mananga)에 있는 저수지에서 세부, 만다우에, 라푸라푸, 탈리사이 시와 콘솔라시온, 릴로안, 콤포스텔라, 코르도바 시의 식수를 공급한다.

산림 벌채와 지하수 공급원의 해수 침입으로 인해 메트로 세부에서는 물 부족이 항상 문제였다.[1] 대도시의 물 부족 사태로 인해 인근 보홀 섬에서 물을 확보하자는 제안이 있었다.[2]

1998년 탈리사이 마구웨이(Maghuway)에 위치한 마낭가 1단계 프로젝트(Mananga Phase I Project)가 완료되어 하루에 추가로 33000m3의 식수를 생산했다. 그리고 플룸베로 호 근처 밍글라닐라(Minglanilla)에서는 일련의 5HP 잠수식 펌프를 태양광 에너지로 가동하는 다른 지역(참고: 주간에만 작동)이 있다.

10. 메트로 세부 개발 조정 위원회 (MCDCB)

메트로 세부 개발 조정 위원회(MCDCB, Metropolitan Cebu Development and Coordinating Board)는 지역 개발 위원회(RDC) 결의 제117호(1997년)에 따라 설립된 메트로 세부 개발 위원회(MCDC, Metropolitan Cebu Development Council)의 후신으로, 2011년 6월에 MCDCB로 대체되었다. MCDCB는 전임 기관과 마찬가지로 주로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MMDA)을 모델로 하여 국가 정부 기관의 지역 사무소, 지역 서비스 및 유틸리티 기관, 민간 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메트로 세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와 우려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 계획 수립,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준비,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이행의 조정/감독을 담당한다.

MCDCB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구성원
세부 주지사
세부, 만다우에, 라푸라푸, 탈리사이, 카르카르, 다나오, 나가 시장
콤포스텔라, 릴로안, 콘솔라시온, 코르도바, 밍글라닐라, 산 페르난도 시장
필리핀 공공사업 고속도로부(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필리핀 국가경찰(Philippine National Police), 필리핀 환경·자원부(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DENR 환경관리국, 필리핀 해군(Philippine Navy), 필리핀 해안경비대(Philippine Coast Guard), 해양경찰, 교통관리단, 토지교통청(Land Transportation Office), 필리핀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필리핀 내무·지방자치부(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필리핀 정보청(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메트로 세부 상수도국, 필리핀 국가청소년위원회(National Youth Commission), 주택 및 토지 이용 규제 위원회, 막탄-세부 국제공항청, 세부 항만청의 지역 국장 또는 책임자
라몬 아보이티즈 재단(Ramon Aboitiz Foundation Incorporated), 세부 비즈니스 클럽(Cebu Business Club), 세부 리드 재단(Cebu Leads Foundation), 세부 상공회의소(Cebu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만다우에 상공회의소(Mandaue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필리핀 중국계 상공회의소(Filipino-Chinese Chamber of Commerce), IBM 필리핀(IBM Philippines) 등 민간 단체



세부 주지사가 위원장을 맡는다.

MCDCB는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MMDA)과 같은 법적·제도적 권한과 자원을 갖고 있지 않다. MCDCB는 계획 목적에만 메트로 세부의 범위를 정의한다. 한편, 세부 주는 상설 메트로 세부 개발청(MCDA, Metropolitan Cebu Development Authority)을 설립하기 위한 법안을 제안했으며, 이 법안은 필리핀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과 필리핀 상원(Senate)의 필리핀 의회(Congress of the Philippines)에서 계류 중이다.[7]

참조

[1] 웹사이트 Province: Cebu http://nap.psa.gov.p[...]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8-02-08
[2] 뉴스 Has 'Ceboom' returned? http://newsinfo.inqu[...] 2013-01-11
[3] 웹사이트 Province of Cebu Leads the Economy of Central Visayas with 30.7 Percent Share from 2018 to 2020 https://psa.gov.ph/c[...] 2021-12-04
[4] 뉴스 Cebu’s booming SRP district seen to create more jobs https://www.pna.gov.[...] 2021-10-22
[5] 뉴스 A decade of growth: Turning NRA into a center of business https://cebudailynew[...] 2018-10-17
[6] 웹사이트 Business Catalyst https://web.archive.[...] 2012-00-00
[7] 웹사이트 NEDA RDC7 Accomplishment Report(7/2001 – 12/2002) http://www.neda7.net[...] 2006-11-29
[8] 간행물 2007년 인구조사 2007-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